홈 네트워크 내부망 LAN 구성하기

인터넷연결없이는 생활 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현재 사용 하고 있는 홈 네트워크 연결을 잘 모르고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 간단히 설명해 봅니다. 특히 홈서버 나스를 설치 하신다면 내부망 즉 동일 네트워크구성이 되어야 초기 설치가 가능합니다. KT 인터넷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KT 인터넷 네트워크 설치

보통 인터넷 통신사 모뎀은 4포트의 구조입니다. 이 포트들은 독립적인 각각 IP 하나를 할당 받습니다. 가입 하신 인터넷을 설치하러 오신 기사님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모뎀, 공유기 설치 시 그림1 처럼 설치를 해주십니다. 잘못된 설치는 아니지만 동일 네트워크(내부망)가 아닌 상황이 됩니다. 

홈 네트워크 1


홈 네트워크 구성

그림 2는 보통 가정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기기들의 구성입니다. 모든 기기가 인터넷 연결이 되지만 노트북과 PC 1은 동일 네트워크(내부망)이 아니어서 노트북과 PC 1간의 공유 폴더를 공유할 수 없는 환경이 됩니다. PC 1의 IP와 무선공유기의 IP가 서로 달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스마트폰과 노트북만 동일 네트워크로서 공유 폴더 접근이 가능하고 PC 1과는 동일 네트워크라고 할 수 없습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갤럭시 시리즈)도 '내 파일'이라는 앱을 사용하면 동일 네트워크의 PC들의 공유 폴더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홈 네트워크 2

홈네트워크의 기본은 사용하는 기기 전부를 동일 네트워크(내부망)으로 묶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일부 기사님의 설치는 동일 네트워크(내부망)가 안되는 연결이 됩니다. 그로 인해 홈네트워크라는 말이 무색하게 됩니다.



동일 네트워크(내부망) 구성하기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기기들을 모두 공유기에서 연결을 하면 동일 네트워크로 서로 공유 폴더 접근이 가능해진다. 그럼 3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홈 네트워크 3


위의 그림 3처럼 KT 모뎀의 Lan 1 포트를 공유기의 Wan(인터넷) 포트에 연결해 주세요. 공유기에서 모든 기기들을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을 해주시면 동일 네트워크(내부망) 이 구성이 되어 각 기기간 공유 폴더 접근도 가능하고 스마트 TV라면 DLNA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V 셋탑박스는 KT 모뎀의 Lan 2와 연결해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스마트 TV라면 유선 연결로 사용하실 경우 공유기에서 연결을 해주셔야 내부망으로서 공유가 됩니다. NAS에 음악, 영화, 사진, 문서 등 파일을 저장하고 각 기기들은 접속을 해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입니다.

그림에서는 무선 공유기로 표현을 했지만 실제 가정에는 통신 단자함이 있는 신발장 안에 모뎀이 설치가 되기 때문에 유선 공유기를 같이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유선 공유기에서 각 방의 Lan 케이블을 연결하면 어디에서는 인터넷이 가능합니다. Wifi 사용은 벽에 있는 Lan 단자에 무선 공유기를 연결하여 Wifi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래 사진의 저의 집 통신 단자함안의 구성입니다. KT모뎀과 8포트 유선공유기고 설치해서 각 방으로 인터넷이 가능하게 했습니다. 

홈 네트워크 통신 단자함


간단하게 홈 네트워크 구성을 알아봤습니다. 가저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서로 간 네트워크 공유가 된다면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자신의 홈 네트워크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한번 점검해 보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