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서버 - 나스(NAS) 구축해 보기

서버 클라이어트



서버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의 관계

서버란 네트워크 상의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혹은 프로그램들입니다. 단어를 번역하면 ‘제공자’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행위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웹입니다. 우리는 웹-브라우저(Chrom, IE, Firefox 등등)를 사용해 Google, DAUM, NAVER 같은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쇼핑, 금융, 게임, 만화, 날씨 등 모든 인터넷 서비스들이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홈 서버란 무엇인가?

홈 서버란 가정에서 간단하게 사용하기 위한 서버입니다. 데이터의 저장과 공유가 주목적으로 흔히 NAS(Network Attached Storage)라고 불립니다.  홈 서버로 다수의 인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가정의 인터넷망과 시스템은 이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수의 인원으로 한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품질을 높이는데 좋습니다. 서버 혹은 NAS의 경험이 전무한 일반인이 접하기 쉬운 제품들은 대표적으로 Synology, Qnap 두 회사의 제품들이 있습니다. 처음 홈 서버를 경험하시기에는 Synology 사의 제품을 추천드립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있어 정보를 얻기 쉽고 가격도 저렴한 편입니다.

NAS 서버



홈 서버-나스(NAS)는 왜 필요할까?

사실 홈 서버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은 거의 대부분이 상용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일 동기화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Google Drive , iCloud, Dropbox, OneDrive 등 많이 있습니다. 데이터 용량이 많아질수록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월간 비용이 더욱 늘어나게 됩니다. 홈 서버는 비용이나 유지 보수를 개인이 모든 것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불리한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홈 서버를 구축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데이터 중앙 집중화 : 무료 혹은 저렴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여 꼭 필요한 파일만 클라우드 서비스에 저장하고 나머지는 개인 저장 장치나 사용하는 PC에 저장하다 보면 파일 관리의 어려움이 있지만, 홈 서버에 저장해 두면 파일 관리가 수월합니다.
  • 저렴한 비용: 홈 서버라고 해서 비용이 안 드는 것은 아닙니다. 하드웨어 구매, 인터넷망 이용료, 전기세, 유지 보수를 위한 개인적인 시간 투자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개인 NAS를 클라우드로 활용하면 원하는 용량을 증설할 수도 있습니다. 상용 서비스 대비 파일 공유와 저장에 대한 제약이 없습니다.
  • 개인화 : 홈 서버는 내가 필요한 서비스를 내 마음대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단, 이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 개발적인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상용 서비스들은 내가 원하는 만큼만 사용할 수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개인적으로만 보관해야 하는 파일들은 홈 서버에 저장을 해야 합니다.



홈 서버로 할 수 있는 것들

  • 파일 공유 : FTP, WebDAV, Samba, NFS 등을 이용해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웹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도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웹 서비스 : 홈 서버에서 WordPress나 XpressEngine과 같은 블로그나 게시판, 포럼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 토렌트 : 토렌트를 이용해 원하는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 메일 서버 : 나와 지인만을 위한 메일 서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멀티미디어 감상 : 영화, 음악, 사진 등을 저장 후 TV나 스마트 기기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우회 접속 : VPN, SSH, Proxy 서버를 구축하여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회사에서 접속이 차단된 서비스에 접속할 수도 있습니다.
  • 파일 백업 : 파일 동기화로 내가 가진 PC나 스마트 기기에서 자료를 백업해 두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홈 서버 나스(NAS) 만들기의 기초인 서버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저는 전문 개발자가 아닌 순수 일반 사용자로서 기초부터 구축하는 과정을 업로드 하겠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